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

주52시간 근무하면 당직근무는 할 수 없나요? 당직근무 시 연장근로수당을 주어야 할까? 당직근무 시 연장수당을 주어야 할까요? 아니면 공무원들처럼 별도의 당직수당 내규를 만들어서 규정대로 지급해도 괜찮을까요? 먼저 당직근무의 정의부터 알아야 하겠습니다. 네이버 국어사 nobi365.tistory.com 당직근무 시 연장근로수당 지급 여부에 대한 포스팅의 다음 내용입니다. 위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시면 이 포스팅의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근로기준법 상 일일 근로시간은 12시간, 주간 근로시간은 52시간 이내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당직근무는 보통 일직의 경우 09시~18시로 9시간, 숙직의 경우 18시~익일 09시로 15시간입니다. 숙직 한번 하고 나면 그 주 5일 동안은 37시간만 일해야 하는 걸까요? 당직근무 시 연장근로수당은 주지 않아도 됩니다. .. 2021. 11. 22.
당직근무 시 연장근로수당을 주어야 할까? 당직근무 시 연장수당을 주어야 할까요? 아니면 공무원들처럼 별도의 당직수당 내규를 만들어서 규정대로 지급해도 괜찮을까요? 먼저 당직근무의 정의부터 알아야 하겠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당직근무의 의미 "공휴일 또는 근무시간 외에 근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연장근무수당 또는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맞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상적인 본연의 업무의 연장"인 경우입니다. 당직근무의 경우에는 비상대기, 감시, 휴일 방문객 안내 등 본연의 업무와 다른 업무를 맡게 됩니다. 공휴일 또는 근무시간 외에 그 기관의 모든 업무처리를 대신해서 근무를 하는 것을 말한다. 당직의 구분은 일직과 숙직으로 구분되는데, 일직은 정상근무일의 근무시간을, 숙직은 정상근무시간 또는 일직근무 시간이 종료될 때부터 다음날.. 2021. 11. 22.
음주운전 공무원 징계 강화, 공무원 징계령 시행규칙 개정안 2021년 10월 27일 공무원 징계령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음주운전 공무원 처벌 수위 강화 및 갑질 행위 비위 유형 추가입니다. 1. 음주운전 공무원 처벌 수위 강화 및 세분화 1-1. 최초 음주운전일지라도 혈중 알코올 농도 0.2% 이상 또는 음주 측정 불응 시 해임 가능 1-2.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른 징계 구분 현행 2단계에서 3단계로 세분화 현행 개정 혈중 알코올 농도 징계수위 혈중 알코올 농도 징계수위 0.08% 미만 정직 ~ 감봉 0.03% ~ 0.08% 정직 ~ 감봉 0.08% 이상 또는 측정불응 강등 ~ 정직 0.08% ~ 0.2% 강등 ~ 정직 0.2% 이상 또는 측정불응 해임 ~ 정직 현행 교통법 상 혈중 알코올 농도 0.03% 이상을 음주운전으로 정의하고 있기 .. 2021. 11. 20.
2022년 국가공무원 시험일정 확정 2022년 국가직 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2021년 11월 1일 자로 확정되었으며 직렬별 선발인원, 응시자격, 채용 과목 등을 포함한 최종 공고는 2022년 1월 초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년 국가직 공무원 시험일정 (5급 및 외교관) 직급(직렬) 접수기간 차시 장소공고 시험일자 합격발표 5급 (행정) 1. 25. ~ 1. 27. 1차 2. 18. 2. 26. 4. 6. 2차 4. 6. 6. 25. ~ 6. 30. 9. 2. 3차 9. 2. 9. 19. ~ 9. 21. 10. 4. 5급 (기술) 1. 25. ~ 1. 27. 1차 2. 18. 2. 26. 4. 6. 2차 4. 6. 7. 1. ~ 7. 6. 9. 2. 3차 9. 2. 9. 19. ~ 9... 2021.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