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 수습, 수습근로자의 시급, 처우 직장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처음부터 일을 잘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일정 기간 일을 배우는 기간을 두어 신분(또는 지위)을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턴, 수습, 견습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릅니다. (OJT(On the Job Training)라고 해서 직무 시작과 교육을 병행하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각 용어의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턴은 정식 채용이 아니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정식과 정식이 아닌 것의 기준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인턴사원 회사에 정식으로 채용되지 아니한 채 실습 과정을 밟는 사원 수습사원 회사의 일을 배워 익히는 과정에 있는 사원 견습사원 "수습사원"이 옳은 표현임 근로기준법에는 수습사원에 대한 언급이 아주 짧게 등장합니다. 수습 등 명칭을 .. 2021. 12. 13.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초과근무수당) 부당수령 어디부터 잘못되었나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초과근무수당) 부당수령. 예전부터 계속되어온 문제지만 최근 2년간 부쩍 늘어난 느낌입니다. 초과근무 체계가 어떻게 되어 있길래 이와 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요? 1. 공무원의 시간외근무와 사기업의 초과근무수당의 차이 공무원은 기본적으로 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입니다. (유연근무제나 교대근무 등 특별한 경우도 있지만 여기서는 제외함.)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초과근무"라는 용어 대신 "시간외근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정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하는 경우에 받게 됩니다. 또한 초과근무에 관계없이 매월 10시간에 해당하는 초과근무수당을 기본으로 받습니다. 월에 10시간의 시간외근무를 한다면 10시간 초과 기본수당에 10시간의 시간외수당을 합해 20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2021. 12. 5. 미성년자가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나이는 (취직 최저 연령)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 향상하며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데 있습니다. 법에서 말하는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2. “사용자”란 사업주 또는 사업 경영 담당자,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를 말한다. 3. “근로”란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말한다. 4. “근로계약”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체결된 .. 2021. 12. 5. 알리익스프레스 갤럭시워치4 스트랩 구매후기 매년 11월이 되면 각종 쇼핑몰에서 블랙프라이데이라느니 광군절이라느니 하며 할인행사를 합니다. 특히 중국 쇼핑몰(알리익스프레스, 큐텐 등)에서는 할인쿠폰을 무지막지하게 뿌려대는데 그렇게 받은 할인쿠폰을 사용하기 위해 갤럭시워치4 스트랩을 두 개 사보았습니다. 배송비 포함 두 개에 만원도 안 하는 금액인데 여기서 또 할인쿠폰을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왼쪽은 자석으로 고정하는 스트랩, 오른쪽은 팔찌처럼 착용하면 밴드입니다. 저는 기계정비 업종에 종사하기 때문에 오른쪽 것은 사도 쓰지를 못하겠지만 그래도 예뻐서 사보았습니다. 좌측부터 삼성 정품 204mm 스트랩, 삼성 정품 219mm 스트랩, 마그넷 스트랩, 밴드 스트랩입니다. 204mm 스트랩은 일반 성인 남성에게 조금 작습니다. 구멍 3~4개 남고 착용은.. 2021. 12. 2.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