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펀드

IRP 안전자산 추천,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by 노비365 2024. 7. 7.
반응형

재테크의 수단이란 부동산, 주식, 채권, 예적금같이 전통적인 방법도 있고

가상화폐, 미술품 조각투자와 같은 새로운 방법도 생겨나고 있다.

어느 것을 선택하든 개인의 취향이고 자유이지만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해 연금저축, IRP 투자는 거의 필수이다.

 

세액공제만을 위해서라면 연금저축, IRP를 합쳐 900만원을 투자(입금) 해야 하는데

연금저축이 최대 900만원이므로 IRP에 필연적으로 300만원 이상을 넣게 된다.

 

연금저축보험이라면 건들것도 없고

연금저축펀드라면 ETF 중에 장기투자할기에 만만한 S&P500 같은걸 사서 모으거나

손실이 죽어도 싫다면 금리ETF에 투자하거나, 채권 ETF를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IRP계좌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것에 30% 이상 투자해야 하는데

안전자산이란 국채ETF 또는 국채를 일정비율 이상 혼합한 ETF가 있고

직접 국채를 사거나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가장 간편한 것은 ETF를 매수하는 것이다.


2024년 7월 현재의 상황

코로나19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상승은 지금이 피크라는 것이 중론이다.

미국기준금리는 2023년 7월부터 현재까지 5.5%이다.

한국 기준금리는 2023년 1월부터 3.5%이다.

 

지난 5년 미국과 한국 기준금리 차트

 

 

2022년 11월부터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 기준 기준금리보다 낮아지기 시작했고

2023년 1월부터 한국의 기준금리 상승은 멈춰서 미국과의 금리차가 점점 커졌다.

 

지난5년 원달러 환율차트

 

2022년 10월 미국 기준금리 마지막 상승 직전, 원달러는 1440원으로 고점을 기록했다.

이상하게도 이후로 미국만 기준금리를 올렸는데 환율은 그때보다는 조금 내려왔다.

금리가 높은 통화는 가치가 상승하여 환율이 오른다.

이것이 지금 달러가 비싼 이유다.

 

2024년 올해 미국은 최소 1번의 금리인하가 있다고 했다.

0.25% 단위로 움직이니까 올해 1번의 금리인하는 베이비스탭이라 보고

5.5%에서 5.25%가 되는 것이다. 언뜻 보면 큰 변화는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제 금리인상이 없고 인하만 남았다는 사실이다.

 

1. 금리가 내리면 통화의 가치는 하락하여 환율이 낮아지게 된다.

2. 금리가 내리면 채권의 가치가 상승한다.

미국 기준금리가 내리면 미국채권의 가치는 상승하지만

달러의 가치가 낮아져서 채권의 가격은 낮아진다.

 

따라서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채권을 산다면 채권의 가치는 상승한다.

이것이 지금 미국채권ETF(H)를 사야 하는 이유라 하겠다.


연금저축펀드 또는 ISA에서 투자해야하니 한국에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고른다.

여러 증권사의 상품이 있지만 그중 환햇지와 환노출을 동시에 운용하는 것을 골라보았다.

한국투자증권의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024년 원달러 환율 차트와 국채액티브 환노출/환햇지 비교차트

 

2024년에만 환율이 6.5%가 올랐는데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환햇지와 환노출의 등락률차이는 5.3%

환노출 종목의 경우 상장한 지 1년도 되지 않았고 총액도 작아서 정확한 비교는 아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정보

 

환노출 종목은 환햇지 종목에 비해

거래량이나 시가총액이나 5%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환햇지 종목은 1년간의 수익률이 -9.84%

투자하기에 나쁘지 않은 시기, 나쁘지 않은 금액이다.


최근 미국 대선토론회에서 바이든이 상태가 안 좋다는 설이 많고

트럼프가 당선되면 금리인상 5번 할 거라는 유튜브도 있었는데

누가 되든 내년까지는 어느 정도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내 생각)

금리가 낮아지면 나스닥과 S&P500도 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했었는데

"위기의 역사"라는 책을 읽고 나니 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이건 다음에 다시 다뤄보는 걸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