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

공무원시험 한국사시험 유효기간 폐지, 응시연령 하향, 육아휴직수당 변경 2021년 12월 29일 인사혁신처 보도자료 관련내용입니다. 공무원시험 응시연령 하향 현행 8급 이하 18세 이상(교정직은 20세 이상), 7급 이상 20세 이상에서 7급 이상 응시연령을 하향합니다. 확정안은 나오지 않았으나 8급 이하와 같은 18세 이상으로 변경될 것으로 추정되며 2022년 법령 개정 후 2023년 시행 예정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 폐지 7급 이상 공무원 채용시험에 필요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유효기간을 폐지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시험연도 이전 4년까지의 성적을 인정하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시험응시가 어려워지면서 이전 5년까지 성적 인정으로 변경되었다가 폐지수순을 밟게 되었습니다. 2022년 법령 개정 후 2023년 시행 예정입니다. 5급 공채 시험과목 축소 5급 공채 2.. 2022. 1. 4.
2022년 공무원 봉급표 모음 (공무원 보수규정) 2022년 1월 4일 공개된 공무원 보수규정의 공무원 봉급표입니다. 일반직 공무원 봉급인상률은 당초 1.4%로 발표되었는데 실제 발표된 값으로 계산해보면 1.6%정도 인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Ctrl)+F 를 눌러 찾고자 하는 직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전문경력관, 공안, 연구직, 국가정보원, 지도직, 우정직, 경찰, 소방, 교원, 군인, 헌법연구관) 1. [별표 3]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2. [별표 3의2] 전문경력관 3. [별표 4] 공안업무 4. [별표 5] 연구직공무원 및 국가정보원 전문관 5. [별표 6] 지도직공무원 6. [별표 8] 일반직 우정직군 7. [별표 10]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의무경찰 8. [별표 11]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 2022. 1. 4.
공무원연금 휴직자, 군경력 소급기여금 공무원연금은 재직 중인 공무원의 급여에서 원천징수하는 것으로 휴직기간에는 원천징수에서 제외됩니다. 하지만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휴직기간에 해당하는 기간도 공무원연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법 시행령 제65조(병역복무 휴직자 등의 기여금 납부) ① 공무원이 병역복무나 그 밖의 사유로 휴직하여 보수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휴직기간 동안 기여금을 내지 아니하며, 기여금징수의무자는 휴직사유가 소멸되어 보수가 지급되는 달의 다음 달부터 휴직기간 동안의 해당 월분의 기여금과 같은 금액의 기여금(이하 “소급기여금”이라 한다)을 따로 징수하여야 한다. 다만,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휴직기간 중이라도 그 기간에 해당하는 기여금을 매월 낼 수 있다. ② 제1항 본문의 경우 해당 공무원이 그 소급기여금을 한꺼번.. 2022. 1. 3.
공무원연금 종류, 적용대상, 납부기간, 납부금액, 공무원은 국민연금 대신 공무원연금에 가입하게 됩니다. 보통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이라고 하면 나이가 들어 퇴직한 후에 매월 받는 생활비 개념의 연금만을 떠올리게 되는데 실제로는 그보다 많은 종류의 연금이 있습니다. 그 중 유족급여나 장해급여를 제외한 일반적으로 퇴직 후 받는 연금에 대한 부분만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연금법 제28조(급여) 공무원의 퇴직ㆍ사망 및 비공무상 장해에 대하여 다음 각 호에 따른 급여를 지급한다. 1. 퇴직급여 가. 퇴직연금 나. 퇴직연금일시금 다. 퇴직연금공제일시금 라. 퇴직일시금 2. 퇴직유족급여 가. 퇴직유족연금 나. 퇴직유족연금부가금 다. 퇴직유족연금특별부가금 라. 퇴직유족연금일시금 마. 퇴직유족일시금 3. 비공무상 장해급여 가. 비공무상 장해연금 나. 비공무상 장해.. 2022.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