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적금 금리를 크게 올렸습니다. 무려 7%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 은행인 케이뱅크의 조건 없는 정기예금 상품인 코드 K 정기예금의 6개월 금리는 4.2%입니다.
높아 보이긴 하는데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적금 금액의 특이성 때문에 실제 금리는 매우 낮습니다.
과연 실제 금리는 어느 정도 일지 계산해보았습니다.
1.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납입원금과 이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설정한 금액이 매주 증액되는 방식입니다.
1만원으로 설정하면 첫 주 만원, 둘째 주 2만원, 셋째 주 3만원, 넷째 주 4만원으로 첫 달엔 10만원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마지막 4주 동안에는 23만원 + 24만원 + 25만원 + 26만원으로 98만원이 들어갑니다.
첫 달 대비 마지막 달의 부담이 상당하죠. 게다가 마지막 큰돈은 거치기간도 짧아 이자도 적습니다.
1만원씩 26주 적금을 완료하면 원금 351만원이 들어가고 만기이자는 세전 43,304원.
작년 2월 26주 적금을 완료하고 세후 이자로 15,765원을 받았는데 그때랑 비교하면 거의 세배에 가깝네요.
2. 정기예금, 일반 정기적금과의 비교
정기예금과 적금의 비교는 사실 맞지 않지만 그냥 참고사항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납입원금인 351만원을 6개월 2.5% 정기예금에만 넣어도 26주 적금 이자를 넘어갑니다.
참고로 현재 웰컴디지털뱅크, 다올저축은행은 수시입출금 통장의 금리가 3.8%입니다.
매월 같은 금액을 납입하는 정기적금과의 비교입니다.
351만원을 6개월로 나누면 월 585,000원이 나옵니다.
이를 정기적금으로 6개월간 넣는 경우 4.23% 정도면 카카오뱅크 26주 적금과 이자가 같습니다.
케이뱅크 정기적금이 4.2%니까 이거보다는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이 아주 조금 높습니다.
3. 결론
내 통장에 이미 351만원의 여유자금이 있고 이 돈이 3.8%의 파킹 통장에 들어가 있다면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 수준으로 저라면 이 귀찮은 짓을 할바에야 자유 해지 적금을 드는 게 낫습니다.
(현재 다올저축은행 자유 해지 정기예금의 금리가 4.4%이며 하루 만에 해지해도 금리가 같음)
내 통장에 여유자금이 없고 매월 벌어서 적금을 넣어야 한다면 마지막 4주를 못 넣을 가능성이 큽니다.
26주 적금은 기본금리 3.5%, 7주 성공 시 +1%, 26주 성공 시 +2.5%로 7%가 되는 것으로
성공하지 못하면 금리가 뚝 떨어지게 되며 26주 적금의 메리트가 사라집니다.
본인에 상황에 맞추어 신중히 판단하여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26주적금 with 우리동네GS.. 이제야 쓸만해진 카카오뱅크 (0) | 2022.12.13 |
---|---|
카카오뱅크 저금통 금리 10% 상품분석 (0) | 2022.11.01 |
다올저축은행 머니퍼퓸 럭키드로우 당첨, 9% 매일적금 (0) | 2022.10.08 |
카카오뱅크 26주적금 3.5% 실제 이율 분석 (0) | 2022.08.25 |
이율높은 파킹통장 추천 BEST 3 (2022년 7월 기준) (0) | 2022.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