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 관련101 공무원의 당직근무, 대체휴무 사용기한 이 포스팅의 내용은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인사혁신처 예규 제166호(2023. 10. 25.))"에서 발췌하였습니다. 공무원들은 소속기관에 따라 당직근무를 합니다. 가. 당직의 의의 ○ 당직이란 휴일 또는 근무시간 외의 화재․도난 또는 그 밖의 사고의 경계와 문서처리 및 업무연락을 하기 위해 당번을 정하여 하는 근무 ○ 당직의 구분 - 일직 : 토요일과 공휴일에 두며, 정상근무일의 근무시간에 준하여 근무 - 숙직 : 정상근무시간 또는 일직근무시간이 끝난 때부터 다음 날의 정상근무 또는 일직근무가 시작될 때까지 근무 일직근무는 09시부터 18시 까지이고 숙직근무는 18시부터 익일 09시 까지입니다. 유연근무제를 사용하는 사람도 당직근무일에는 유연근무를 해제하여야 합니다. 당직근무를 시행하지 않는.. 2024. 1. 1. 공무원 장기성과급 신설... 추가성과급 지급 가능? 공무원은 성과에 따라 성과상여금을 받습니다. 최소 3개 이상 등급으로 차등해야 하며 보통 S, A, B, C 이런 식으로 나누어집니다. 기관에 따라 C등급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현행 성과급 제도에서는 단기성과에 대한 보상만 가능하여 지속적 성과창출에 대한 동기부여가 미흡하다고 보고 3년 이상 성과급 평가 최상위 등급(S)을 받은 공무원에게 추가 성과급을 지급할 수 있는 장기성과급 지급 규정을 신설하였습니다. 3년 이상 S등급을 받으면 성과상여금을 50% 가산지급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기존규정(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 제6항)에는 소속 장관이 근무성적이나 업무실적 등이 우수한 공무원에게 성과상여금의 50%를 지급하는 "특별성과가산금"은 지급인원을 상위 2% 이내로 제한하고 있는.. 2023. 9. 19.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발표 2.5% (Feat. 예상 봉급표) 2024년도 공무원 봉급인상률이 발표되었습니다. 당초 공무원보수위위원회에서는 5급 이상 2.3%, 6급 이하 3.1% 인상하기로 결정했었는데요. 결론은 직급에 관계없이 기본급 2.5% 인상, 기타 수당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5급 이하는 오르고 6급 이하는 내려버리는 모양이 되어버렸습니다. (하긴 내년 최저시급도 결국 최초 제시안보다도 낮은 금액으로 결정 돼버린...)...) 이 2.5%의 의미는 최저임금 인상률이라고 합니다. 나머지 수당은 그대로이니 최저임금 근로자와 9급 1호봉 공무원의 급여차이는 2023년도보다도 더 적게 되겠네요. 그리고 이 2.5% 인상률이 확정안은 아니고 의회를 거쳐 최종 확정이 나야 하는데요 지금까지 임금교섭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내려가는 일은 있어도 올라가는 일은 없었습니.. 2023. 8. 30.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자 공무원 결격사유 완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성별, 학력의 제한 없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결격사유가 몇 가지 있기는 합니다.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경우에 그 선고유예 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의2. 공무원으로 재직기간 중 직무와 관.. 2023. 8. 30. 이전 1 2 3 4 5 6 ··· 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