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전자산3 연금저축과 IRP 2편. 무난한 투자종목 추천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결정세액의 기초개념이 알고 싶다면 1편을 보고 오세요 연금저축, IRP의 연말정산 세액공제 기초 (1편)이 글은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IRP)을(IRP) 해야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는다는 말을 듣고 대체 무슨 소린지 알아보기 위해 찾아들어온 문외한들을 위해 복잡한 정보는 빼고 간략하게 정리nobi365.tistory.com 2편에서는 1편에서 납입한 금액으로 어떤 투자를 해야 할지를 설명한다.투자에 정도는 없다.재산의 증식을 위해서는 공부가 수반되어야 한다.연금저축과 IRP에서 단일종목 투자는 불가능하고 ETF와 펀드 투자가 가능하다.IRP에서는 증권사에 따라 회사채, 국채 투자도 가능한 경우도 있다.펀드는 수익에 관계없이 수수료를 떼며 전체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바쁜 현.. 2025. 1. 26. IRP 안전자산 추천,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재테크의 수단이란 부동산, 주식, 채권, 예적금같이 전통적인 방법도 있고가상화폐, 미술품 조각투자와 같은 새로운 방법도 생겨나고 있다.어느 것을 선택하든 개인의 취향이고 자유이지만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해 연금저축, IRP 투자는 거의 필수이다. 세액공제만을 위해서라면 연금저축, IRP를 합쳐 900만원을 투자(입금) 해야 하는데연금저축이 최대 900만원이므로 IRP에 필연적으로 300만원 이상을 넣게 된다. 연금저축보험이라면 건들것도 없고연금저축펀드라면 ETF 중에 장기투자할기에 만만한 S&P500 같은걸 사서 모으거나손실이 죽어도 싫다면 금리ETF에 투자하거나, 채권 ETF를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IRP계좌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것에 30% 이상 투자해야 하는데안전자산이란 국채ETF 또는 국채를 .. 2024. 7. 7. IRP 투자 안전자산 추천 (ARIRNG고배당주채권혼합) 개인적으로 절세 계좌 3종 중 IRP를 가장 선호하지 않지만세액공제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연간 300만원을 투자해야 한다. IRP는 투자금액의 30% 이상을 의무적으로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하는데일반적으로 투자하는 대부분 종목은 위험자산으로 분류된다.S&P500, 나스닥, SCHD, 코스피, 코스닥 등등... 안전자산은 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ETF 또는채권을 일정비율 이상 혼합한 ETF 정도인데모든 채권 ETF가 안전자산인 것은 아니며심지어 증권사마다 안전자산이 다른 경우도 있다.(A증권사에서는 안전자산이 B증권사에서는 위험자산일 수 있음) 세액공제를 위해서만 IR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연 300만원의 30%니까 연간 90만원만 투자하면 되는데이것저것 공부하기도 귀찮고 장기간 쭉 사모을 수 있는 것을 사고 .. 2024. 7. 3. 이전 1 다음 반응형